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말 많이 헷갈리는 단어 '계재' '게재' '개제'에 대해 알아보아요.

쓰임새를 정확히 안다면 분명 꼭 도움이 될겁니다.

 

 

 

 

뜻이나 철자가 헷갈리는 글자들은 대부분 소리는 비슷한데 뜻이 다른 한자어인 경우가 많습니다. ‘게재’와 ‘계제’ ‘개재’도 자주 쓰이지만 뜻이 전혀 다르므로 잘 구분해 써야 합니다. 먼저 가장 많이 쓰이는 말 ‘게재(揭載)’는 글이나 그림을 신문이나 잡지 등에 싣는 것을 뜻합니다. 한자를 이해하면 좀 더 쉬운데, ‘게양’ ‘게시판’에도 쓰인 ‘높이 들 게’와 ‘적재’ 같은 말에 쓰이는 ‘실을 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계제(階梯)’는 사다리나 계단을 밟고 올라가듯 ‘일이 되어 가는 순서나 절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된 형편이나 기회’를 뜻합니다. 주로 ‘그럴 계제가 아니다’와 같이 쓰입니다. 한편 선입견이나 편견, 감정, 변수 등이 영향을 미칠 때 많이 쓰는 ‘개재(介在)’는 ‘어떤 것들 사이에 끼여 있음’을 뜻합니다. 사전에서는 ‘끼어듦’ ‘끼여 있음’으로 순화해 쓸 것을 권하는 말입니다. 정리하자면 절차나 형편의 의미가 있을 때는 ‘계제’, 어디에 실려서 소개되는 것은 ‘게재’, 둘 사이에 무엇이 끼어드는 것은 ‘개재’를 씁니다.

 

이것저것 가릴 게재가 아닙니다. (×)

→ 이것저것 가릴 계제가 아닙니다. (○)

 

그의 논문이 유명 학술지에 개재되었다. (×)

→ 그의 논문이 유명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

 

선입견이 게재되어 일을 그르치다. (×)

→ 선입견이 개재되어 일을 그르치다. (○)

 

 

 

출처 : 다음국어사전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겆이 vs 설거지  (0) 2017.03.02
계양 vs 게양  (0) 2017.03.01
박이다 vs 박히다 vs 배기다  (0) 2017.02.28
결제 vs 결재  (0) 2017.02.27
바치다 vs 받치다  (0) 2017.02.26

 

 

 

안녕하세요.

오늘은 '설겆이'와 '설거지' 중에서 어느 것이 올바른지 알아볼게요.

이번에는 대다수가 이미 알고 있을 수도 있겠는데요.

기본적인 단어인만큼 잘못 사용하고 계시는 분들은 꼭 알아두세요.

 

 

 

 

먹고 난 그릇을 씻어 정리하는 일은 ‘설겆이’가 아니라 ‘설거지’입니다. 예전에는 ‘설겆이’가 맞다고 배웠지만 개정된 규정에 따라 지금은 ‘설거지’만 됩니다.

 

설겆이는 내 담당. (×)

설거지는 내 담당. (○)

 

모았다가 한꺼번에 설겆이하자. (×)

→ 모았다가 한꺼번에 설거지하자. (○)

 

 

 

출처 : 다음국어사전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재 vs 게재 vs 개제  (1) 2017.03.03
계양 vs 게양  (0) 2017.03.01
박이다 vs 박히다 vs 배기다  (0) 2017.02.28
결제 vs 결재  (0) 2017.02.27
바치다 vs 받치다  (0) 2017.02.26

 

 

 

안녕하세요.

국기와 관련된 표현은 '계양'과 '게양' 중 어느 것이 옳은 걸까요?

둘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볼게요.

 

 

 

 

태극기 같은 기를 높이 거는 것은 ‘게양’, 그러기 위해 만들어 놓은 대는 ‘게양대’입니다. ‘계양’은 ‘효성으로 부모 섬기는 일을 이어서 함’을 뜻하는 다른 말입니다.

 

국기 계양 캠페인 (×)

→ 국기 게양 캠페인 (○)

 

국기 계양대를 기준으로 줄 맞추어 서다. (×)

→ 국기 게양대를 기준으로 줄 맞추어 서다. (○)

 

조기 계양하는 방법을 배우다. (×)

→ 조기 게양하는 방법을 배우다. (○)

 

 

출처 : 다음국어사전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재 vs 게재 vs 개제  (1) 2017.03.03
설겆이 vs 설거지  (0) 2017.03.02
박이다 vs 박히다 vs 배기다  (0) 2017.02.28
결제 vs 결재  (0) 2017.02.27
바치다 vs 받치다  (0) 2017.02.26

 

 

 

안녕하세요.

오늘은 '박이다'와 '박히다', '배기다'의 차이에 대해 알아볼게요.

 

 

 

 

손이나 발에 굳은살이 생기거나 버릇, 태도가 깊이 밴 것을 뜻하는 동사는 ‘박이다’입니다.‘못이 박히다’나 ‘굳은살이 배기다’와 같이 ‘박이다’를 써야 할 자리에 ‘박히다’나 ‘배기다’를 쓰면 틀립니다.‘박히다’는 ‘박다’의 피동사이며, ‘배기다’는 ‘안장이 배기다’ ‘등이 배기다’처럼 몸에 단단한 것이 닿아 아프게 느껴질 때 쓰는 말입니다.

 

마디마디 못이 박힌 손 (×)

→ 마디마디 못이 박인 손 (○)

 

커피에 인이 박혀서 (×)

→ 커피에 인이 박여서 (○)

 

깊이 박인 못을 뽑다. (×)

→ 깊이 박힌 못을 뽑다. (○)

 

맨바닥이라 등이 배긴다. (○)

 

 

 

출처 : 다음국어사전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겆이 vs 설거지  (0) 2017.03.02
계양 vs 게양  (0) 2017.03.01
결제 vs 결재  (0) 2017.02.27
바치다 vs 받치다  (0) 2017.02.26
결단내다 vs 결딴내다  (0) 2017.02.25

 

 

 

안녕하세요.

오늘은 '결제'와 '결재'의 차이에 대해 알아볼게요.

 

 

 

 

결재’와 ‘결제’ 둘 다 직장이나 일상에서 자주 쓰는 말입니다. 소리가 비슷하다 보니 글로 쓰기 전에 한 번쯤 멈추고 생각해 봐야 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결재’는 부하가 제출한 안건을 검토하여 허가하거나 승인하는 것입니다. ‘결재를 받다’ ‘결재를 올리다’ ‘기안 결재’ 등과 같이 쓰는데, 사전에서는 ‘재가(裁可)’로 고쳐 쓸 것을 권합니다. 한편 ‘카드 결제’ ‘어음 결제’ 할 때 쓰는 ‘결제’는 돈이나 증권 등을 주고받아 매매 당사자 사이의 거래 관계를 끝맺는 일을 뜻합니다. ‘결재-재가, 결제-경제’로 구분하여 생각하면 조금 쉽습니다.

 

부장님께 결제 올렸습니다. (×)

→ 부장님께 결재 올렸습니다. (○)

 

카드 대금 결재일이 다가온다. (×)

→ 카드 대금 결제일이 다가온다. (○)

 

 

 

출처 : 다음국어사전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양 vs 게양  (0) 2017.03.01
박이다 vs 박히다 vs 배기다  (0) 2017.02.28
바치다 vs 받치다  (0) 2017.02.26
결단내다 vs 결딴내다  (0) 2017.02.25
바껴서 vs 바뀌어서  (0) 2017.02.24

 

 

 

안녕하세요.

오늘은 '바치다'와 '받치다' 각각의 정확한 쓰임을 알아볼게요.

 

 

 

 

받치다’는 ‘어떤 물건 밑에 다른 물체를 대다’ ‘우산이나 양산을 펴 들다’의 뜻으로 쓰입니다.

‘아낌없이 내놓거나 쓰다’ ‘정중하게 드리다’라는 뜻의 동사는 ‘바치다’입니다.

한때 전직 대통령이 방명록에 ‘바치다’를 ‘받치다’로 잘못 적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통일을 이루는 데 모든 것을 받치겠습니다. (×)

→ 통일을 이루는 데 모든 것을 바치겠습니다. (○)

 

재물을 받치다. (×)

→ 재물을 바치다. (○)

 

우산을 받치다. (○)

 

 

 

출처 : 다음국어사전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이다 vs 박히다 vs 배기다  (0) 2017.02.28
결제 vs 결재  (0) 2017.02.27
결단내다 vs 결딴내다  (0) 2017.02.25
바껴서 vs 바뀌어서  (0) 2017.02.24
겨땀 vs 곁땀  (0) 2017.02.23

 

 

 

안녕하세요.

오늘은 '결딴내다'와 '결단내다' 중에서 어느 것이 옳은 표현인지 알아볼게요.

 

 

 

 

결단’은 말 그대로 결정적 판단이나 단정을 내리는 것입니다.

반면에 ‘결딴’은 어떤 일이나 물건 따위가 아주 망가져서 도무지 손을 쓸 수 없게 된 상태나

살림이 망하여 거덜난 상태를 일컫는 말입니다.

‘사생결단’ 때문에 이 둘이 헷갈리기 쉬운데, ‘사생결단’의 뜻은 ‘죽고 삶을 돌보지 않고 끝장을 내려고 함’입니다.

단호할 때는 ‘결단’을, 망가질 때는 ‘결딴’을 써야 합니다.

‘마음먹은 대로 반드시’를 뜻하는 부사도 ‘결딴코’가 아니라 ‘결단코’가 맞습니다.

절딴내다/절딴나다’도 ‘결딴내다/결딴나다’를 잘못 쓴 것입니다.

 

노름으로 집안을 결단내다. (×)

→ 노름으로 집안을 결딴내다. (○)

 

라디오를 고치려다 아예 결단내고 말았다. (×)

→ 라디오를 고치려다 아예 결딴내고 말았다. (○)

 

이제는 결딴을 내려야 해. (×)

→ 이제는 결단을 내려야 해. (○)

 

 

 

출처 : 다음국어사전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제 vs 결재  (0) 2017.02.27
바치다 vs 받치다  (0) 2017.02.26
바껴서 vs 바뀌어서  (0) 2017.02.24
겨땀 vs 곁땀  (0) 2017.02.23
만발의 vs 만반의  (0) 2017.02.22

 

 

 

안녕하세요.

오늘은 '바껴서'와 '바뀌어서' 중에서 어느 것이 올바른 표현인지 알아볼게요.

저는 평소에 '바뀌어서'보다는 '바껴서'를 많이 쓰는데요.

과연 어느 것이 옳을까요?

 

 

 

 

변경하거나 교환하다의 뜻으로 쓰이는 ‘바꾸다’의 피동사는 ‘바꾸이다’이고 이것을 줄인 것은 ‘바뀌다’입니다.

바뀌다’는 ‘바뀌어’ ‘바뀌었다’ 등으로 활용됩니다.

바끼다’가 아니므로 ‘바껴’ ‘바꼈다’와 같이 쓰면 틀립니다.

바뀌어’를 ‘바꿔’로 줄여쓰는 것도 틀립니다.

바꿔’는 ‘바꾸다’의 활용입니다.

소리는 [바껴]로 나더라도 쓰기는 ‘바뀌어’로 해야 합니다.

 

머리 모양이 바껴서 (×)

→ 머리 모양이 바뀌어서 (○)

 

두 개가 서로 바꼈어. (×)

→ 두 개가 서로 바뀌었어. (○)

 

 

 

출처 : 다음국어사전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치다 vs 받치다  (0) 2017.02.26
결단내다 vs 결딴내다  (0) 2017.02.25
겨땀 vs 곁땀  (0) 2017.02.23
만발의 vs 만반의  (0) 2017.02.22
검정색 vs 검은색  (0) 2017.02.22

 

 

 

안녕하세요.

오늘은 '겨땀'과 '곁땀' 중 어느 것이 올바른 표현인지 알아볼게요.

저도 평소에 '겨땀'이라고 많이 쓰는데 과연 맞는 표현일까요?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등에서 옷의 겨드랑이 부분에

땀이 밴 연예인의 사진과 함께 종종 등장하는 말 ‘겨땀’.

다들 겨드랑이 땀을 재미로 줄여 말하는 줄 알았다가

실제로 사전에 ‘곁땀’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곁땀’은 ‘겨드랑이에서 나는 땀’을 일컫는 말입니다.

 

연예인의 겨땀 굴욕 (×)

→ 연예인의 곁땀 굴욕 (○)

 

여름철 으로 옷이 젖어 곤란한 적이 많았다. (×)

→ 여름철 으로 옷이 젖어 곤란한 적이 많았다. (○)

 

 

 

출처 : 다음국어사전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단내다 vs 결딴내다  (0) 2017.02.25
바껴서 vs 바뀌어서  (0) 2017.02.24
만발의 vs 만반의  (0) 2017.02.22
검정색 vs 검은색  (0) 2017.02.22
만두속 vs 만두소  (0) 2017.02.21

 

 

 

 

안녕하세요.

오늘은 '만발의'와 '만반의' 중에서 어느 것이 올바른 표현인지 알아볼게요.

 

 

 

 

만발’은 ‘진달래가 만발하다’와 같이 ‘꽃이 활짝 다 핌’을 뜻하는 말입니다.

준비 상황을 나타낼 때 쓰이는 말은 ‘만반’이며 ‘마련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뜻합니다.

주로 ‘만반의’ 꼴로 쓰입니다.

 

만발의 준비를 끝내고 (×)

만반의 준비를 끝내고 (○)

 

만발의 대비 태세 (×)

만반의 대비 태세 (○)

 

봄꽃이 만발하다. (○)

 

 

 

출처 : 다음국어사전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껴서 vs 바뀌어서  (0) 2017.02.24
겨땀 vs 곁땀  (0) 2017.02.23
검정색 vs 검은색  (0) 2017.02.22
만두속 vs 만두소  (0) 2017.02.21
갱신 vs 경신  (0) 2017.02.20

+ Recent posts